Cloud 스터디 잼 코리아 Kubernetes Intm 16

1주차 - 04. Google Cloud와 상호작용

1. Google Cloud Platform Console 웹 기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 GCP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명령어를 외우거나 오타를 걱정할 필요가 없고, GCP 프로젝트와 리소스를 가시적으로 파악하기 용이하다. 'console.cloud.google.com'에 접속하여 GCP Console에 로그인 하면 접속할 수 있다. 2. Cloud Shell Cloud Shell을 사용하면 Cloud SDK 등의 도구를 로컬에 설치하지 않아도 손쉬운 프로젝트 및 리소스 관리가 가능하다. Cloud Shell은 비용이 없는 Compute Engine 가상 머신 인스턴스를 사용해 빌드 되었기 때문에 Cloud SDK, 'gcloud', 'kubectl' 명령줄 도구와 그 외 유틸리티 모두..

1주차 - 03. 청구

GCP 결제 정보 설정 GCP 결제는 프로젝트 수준에서 설정한다. GCP 프로젝트 정의할 때 결제 계정을 연결해야 한다. 결제 계정에서 사용자는 지불 옵션을 비롯한 모든 결제 정보를 설정한다. 결제 계정은 하나 이상 다수의 프로젝트에 연결할 수 있다. 결제 계정을 연결하지 않은 프로젝트는 무료 GCP 서비스만 사용이 가능하다. 결제 계정은 매월 또는 기준액 도달 시 자동으로 청구 및 인보이스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결제 하위 계정을 설정하면 프로젝트 결제를 분리할 수 있다. 결제 관련 제공 도구 예산 및 알림(Budgets and alerts) 예산 관련 알림 설정 시, 비용이 설정 수치에 도달했을 때 알림을 받을 수 있고, 알림에 대한 응답으로 웹훅이 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웹훅을 사용하여 결제..

1주차 - 02. 리소스 관리

Google Cloud 물리적 단위 (Multi Regions - Region - Area) 1. Multi Regions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태평양) 2. Regions(대륙) Region 내에서의 네트워크 연결 빠름. 일반적으로 95번째 백분위수에서 1밀리초 미만의 왕복 네트워크 지연 시간 3. Zone (한 Region 내에 위치한 데이터 센터) 영역(Zone)란, 집중된 지리적 위치 내에 있는 GCP 리소스의 배포 위치 그렇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하나의 Zone가 반드시 하나의 데이터 센터인 것은 아니다. Compute Engine 가상 머신 인스턴스는 특정 Area 내에 위치한다. -> 그 Zone가 사용 불가 상태가 되면 가상 머신과 워크로드 또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GKE 역시..

1주차 - 01. 클라우드 컴퓨팅과 Google Cloud

클라우드 컴퓨팅 컴퓨팅 리소스가 주문형 및 셀프 서비스 방식으로 제공 된다. (On-demand self-service) 자동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므로, 사람의 개입없이 필요한 처리 능력,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확보할 수 있다. (No human intervention needed to get resources)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통해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Board network access - Access from anywhere) 대규모 pool의 리소스를 고객에게 할당한다. (Resource pooling) 사용자는 이러한 리소스의 정확한 물리적 위치를 파악하거나, 신경쓸 필요가 없다. 리소스가 탄력적으로 공급 된다. (Rapid elasticity) 리소스가 추가로 필요하면 신속히 확보..